속성열거법
知彼知己 百戰百勝. 적의 속사정과 나의 형편을 자세히 알면 싸울 때 마다 이긴다. 너무도 잘 알려진 말이고 너무도 당연한 말이다. 이 사실을 문제 해결의 아이디어를 얻는 기법으로 전개 시킨 것이 바로 속성 열거법이다.
Nebraska 대학의 크로우포드 교수가 개발한 속성 열거법에서는 문제 또는 대상의 속성이나 특성들을 모두 열거한 다음, 각 속성이나 속성단(group of attributes)을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가능한 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속성들을 바꾸거나 개선해서 해결책을 찾을 수 있다.
문제의 속성들을 열거할 때는 단순히 문제의 구성 요소들을 열거한다는 생각으로 일반적인 목록을 만들면 된다. 이 목록이 옳은가에 대해서는 염려할 필요가 없다.
예컨데,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연필의 속성은 필기 도구, 노랑, 연필심, 지우개, 뽀족함, 표면에 인쇄가 되어 있음, 원통형, 그리고 육각형이다. 아래는 연필에 대해 속성 열거법을 적용한 것이다.
속성 |
가능한 변화 |
연필심으로 글을 쓸 수 있다. |
빛을 이용해 감광지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열을 이용해 특수종이를 변화시킬 수 있다. 연필심 대신 종이와 반응하는 화학용제를 쓴다. (이렇게 함으로써 깍거나 보충해 넣을 필요 없는 연필 또는 필기도구를 개발할 수 있다.) |
나무로 둘러싸여 있다. |
금속, 플라스틱 등으로 둘러쌀 수도 있다. |
무늬 없는 노란색이다. |
색상 변화, 광고 삽입, 예쁜 디자인이 가능하다. |
때로는 속성을 열거하고 관련된 속성들끼리 모음으로써 아이디어 생성에 도움이 되기도 한다. 어느 패스트푸드 프렌차이즈의 주인은 종업원이 너무 자주 바뀌는 문제로 고민하고 있던 중 이 기법을 사용해 보기로 했다. 종업원들의 대다수가 10대 학생이었으므로 그는 다음과 같이 학생의 속성을 열거하였다.
- 학교에 다닌다.
- 젊다.
- 즉각적인 보상을 좋아한다.
- 부모님의 관리하에 있다.
- 좋은 성적을 자랑스러워 한다.
- 돈을 갖고 싶어 한다.
- 경쟁적이다.
- 부모님의 허락을 받는다.
- 장래를 걱정한다.
- 선생님의 허락을 받는다.
- 대학 진학을 생각한다.
- 물건을 사기 위해 일한다.
- 인정 받고 싶어 한다.
그는 이 속성들 중에서 아래의 속성단에 관심을 집중했다.
- 좋은 성적을 자랑스러워 한다.
- 경쟁적이다.
- 돈을 갖고 싶어 한다.
- 인정 받고 싶어 한다.
- 선생님의 하락을 받는다.
- 부모님의 허락을 받는다.
이 속성단을 북석하고 변화시킨 결과 다음과 같은 아이디어를 얻었다.
학교 성적에 따라 보너스를 준다.
- 한 학기 동안 일하면서 학교 성적이 평점 2.5~3.0이면 그 학기의 총 작업 시간에 대해 시간당 100원씩 계산해서 보너스를 준다.
- 3.0을 넘는 점수를 받은 학생들에게는 시간당 200원씩의 보너스를 계산해 준다.
이렇게 함으로 써 얻는 장점은 아래와 같다.
- 학생들이 학기 중에는 잘 그만두지 않는다.
- 보너스가 있으므로 학교 성적이 좋은 학생들이 올 확률이 커진다.
- 부모님들이 자녀들에게 이 곳에서 일할 것을 권한다.
- 홍보 효과가 크다. 무료로 신문이나 텔레비전의 첫 부분에 실린다.
- 진로 상담 교사나 담임 교사들이 일자리를 찾는 학생들에게 이 가게를 추천해 준다.
위에서 살펴 본 것처럼 문제의 대상에 대한 속성이나 특성을 나열해 보면, 문제에 대한 이해의 폭이 넓어질 뿐만 아니라 아이디어를 산출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이렇게 해서 얻은 아이디어들은 현실적으로 성공할 확률이 높다.
속성열거법의 단계
1. 문제를 기술한다.
2. 문제를 분석하여 문제의 속성들을 모두 열거한다.
3. 각각의 속성 또는 속성단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가능한 한 여러 가지 방법으로 바꾸거나 개선한다.
4. 결과로서 얻어진 속성들을 검토하여 최상의 해결책을 결정한다.
저자 : 문정화
출처: SERI Thinkwise forum
'창의적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SCAMPER(스캠퍼) (0) | 2009.07.29 |
---|---|
속성열거법2 (0) | 2009.07.29 |
지시-솔선형 리더, 사기 저하 등 조직에 부정적 영향 (0) | 2009.06.23 |
[스크랩] 관리자와 리더의 차이 (0) | 2009.06.23 |
창의적 아이디어 발상법 (0) | 2009.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