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벽화 에나오는 삼족오.태양속안에서 중국의 상징인 용과 한국의 상징인 봉황을 거느리고 있다.
고구려의 상진이 삼족오를 일본국대가 지내 엠블럼으로 쓰고있습니다. 여러분생각은 어떻습니까? 제가 |
|
|
|
|
|
- 중국의 오래된 탱화(불교그림)속에 지장보살(?)의 머리위에 삼족오의 그림이 들어있다.
보살은 여자이고, 그 그림속의 삼족오는 여자를 의미한다고 한다.
- 그림이 우리나라에서 제일 상소로운 상징이라고 한다.
중국의 龍(용) 과 우리나라의 鳳凰(봉황)이 합한 것으로 추정
된다는 설이고 보면 알 수 있다.
세 발 달린 까마귀, 즉 三足烏(삼족오)는 고구려 고분 벽화에 그려져
있다. 용이나 봉황 같은 상상의 동물로 "太陽(태양)"을 상징한다.
고대 동북아의 태양 숭배 사상과 샤머나즘이 낳은 것이라고 한다.
해 속에 새가 산다고도 하고, 해를 운반하는 신선한 새라고 믿는다.
4000년전 중국 양사오(仰韶) 토기에도 삼족오가 나오고,
멀리 에집트에도 유사한 神話(신화)가 있다고 한다.
또 이웃 나라 일본 국가대표 축구선수의 유니폼에 그려져 있다.
1930년대부터 일본축구협회에 상징으로 대표팀 엠블럼이 되었다.
일본에서는 "야타가라스"라는 신화속에 있다고 한다.
요즈음 우리나라 행정자치부는 금이 간 國璽(국새)--(나라 도장)
를 새로 만들경우 三足烏(삼족오)를 새기는 것을 검토중 이라고
한다. 봉황이나 용, 백호 보다도 의견이 많다고 한다.
삼족오는 고려와 조선을 이어 오면서 두 발 달린 朱雀(주작)으로
이미지가 바뀌었다.
따라서 일본의 삼족오처럼 이미지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거기다가 현대에 들어 와서는 까마귀가 신성하거나 친근한
이미지의 새가 아니다. 오히려 흉칙하고 공격적이며 쓰레기통이나 뒤지는 천덕 꾸러기의 이미지다.
그래서 모 일간지의 한 논설위원은 이미지를 떠나서라도 세 발 달린
돌연변이의 "퓨전새"를 굳이 국새에 새길 것까지는 없지 안느냐고..
물론 많은 학자와 훌륭한 미래를 보는사람들의 결정이겠지만,
시간을 두고,더 많은 사람들에 여론을 들어 보거나, 공청회를 거쳐서 셜정 하는것도 괜찮을것 같다.
- 태양과 삼족오(三足烏) - 천하를 다스리는 힘
몇 년 전 까지만 해도 시골에서는 새로운 해가 떠오르기도 전부터 부산을 떨기 시작한다. 해가 완전히 떠오르고 나면 해님속에 잠자던 태양조(三足烏)가 날아갈까 두려워 하기 때문인지도 모른다. 해는 천지만물의 기본인 음양 중에서 '큰 양기(陽氣)를 띤 상형(象形) 이라는 뜻으로 태양이라 불리고 있다.
이규보의 '동국이상국집'의 건국신화에서는 태양을 알(卵)로 나타내고, 하느님의 아들 해모수가 하늘에서 까마귀
깃털관을 쓰고 강림했으며, 고구려 시조 주몽은 하느님의 아들로 알에서 태어났다고 전하고 있다. 해모수나 주몽 뿐이 아니다. 모두 하늘의
아들이라는 신격을 부여하여 있다. 신라의 김알지. 박혁거세 가락국의 김수로왕 등 우리 민족의 시조들은 한결같이 하늘에서 강림하고 하늘의 뜻을
따르는 천손민족(天孫民族)임을 자부하고 있다
최근 미국 학자들은 아메리카 인디언들이나 러시아 바이칼로(天海) 주변
원주민의DNA에서 우리와 같은 동질인자를 발견하였고, 문화 원류가 같음도 증명했다. 중국의 문화인류학자 왕따여우(王大有. 53세)의 연구에
따르면 동이족(東夷族)은 서쪽으로는 바이칼호, 동쪽으로는 쿠릴열도, 남쪽으로는 중국의 창청(長成) 북쪽으로는 대신안링(大興安領)까지 영역을
확장했으며, 일부는 베링 해협을 지나 북미와 마야 인디언의 조상이 되었다고 한다. 북미 인디언이나, 마야족의 벽화에는 태양조가 어김없이 표현되어
있어 문화의 동일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구려인들은 태양속에 산다는 전설적인 태양조(三足烏)를
고분벽화(장천1호분,각저총)에 표현, 하늘민족임을 강조하고 있다. 태양조는 한국인의 우주관, 생명관을 반영하였던 것이다. 즉 태양의 둥근 형태는
○형으로 온누리를 뜻하고, 1이라는 까마귀의 한몸에 3개의 다리를 지님으로써 지혜와 생명의 끝없는 순리를 뜻하고 있다.
1과 3이라는 숫자는 우리 문화의 원형적 요소들로써 울타리를 뜻하는 1은 하나됨을 의미하며, 3은 천.지.인
3재(三才)와 삼신사상을 기초로 불교의 불법. 승 삼보와 카톨릭의 3위일체. 개신교의 목자.양.주 등과 수(數)형식을 같이 한다. 또한 고운
최치원의 낭랑비 서문에는 유.불.도의 삼교일치 사상이 곧 신선사상이라고 전하고 있다. 특히 1.3원리는 음양오행의 원리를 낳은 민족 최고의 경전
천부경(天符經)에서 그 원류를 살펴 볼수 있다.
고대 서양의 태양 상징문화에는 태양조가 없다.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해를
쫒아가는 해바라기 정도다. 잉카제국과 바빌론에서는 왕이 곧 태양이었으며, 태양의 아들을 칭한 이집트의 왕이었다. 이 때 형성된 문화가
왕관이었으며, 이것을 태양을 함축한 형태로 제작 됐다.
이들과 달리 고대 우리 민족은 상징 속에 생명을 담는 천연의 신비감을 거침없이 표현했던 것 같다. 고구려를 상징하는
검은 색깔은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현대 색체 개념과 다르다. 고대 색채관에서 검은 색은 생명을 관장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검은색(생명) + 새(하늘) = 새발까마귀(천손민족)의 상징성을 의미하는 것이다. 즉 태양조(三足烏)는 천하를 다스리는 힘의 상징
그 자체였다.
태양조가 뜰 때 일렁이는 빛은 백괴광등(白怪光謄)이다. 빛은 깨달음과 순리와 질서의식을 찾아주는 힘이 있다. 구석진
곳에서도 어둠을 물리치고 온 누리에 그늘이 없게 하는 능력이 있다. 또한 태양조(三足烏)는 양의 일(日)과 음의 월(月)이 접신하여 낳은 태양의
아들(子)의 자리로서 새로운 시작을 의미한다. 이제 우리 역사도 새롭게 시작할때다. 잃어버린 높은 기상을 지녔던 고구려인의 피가 우리 속에
용솟음치고 있다.
- 날일(日)자의 어원으로 보는 삼족오
기원전 5세기 그리스 역사학자
헤로도투스는 헤로도투스가 언급한 그뤼포스["동방의 황금을 지키는 괴조"]이라
불렀던
@ 동방의 황금을 지키는 종족이란... --> 환인의
후예들..? @ 출처: KBS 몽골리안 루트 제 6 편 황금 가지 |
중국신화사전에 있는 삼족오에 대한 내용을 그대로 적었습니다.
그림은 한자를 윈도우 상에서 제대로 표현하기가 힘들어 만든
것입니다.
해석이 가능하신 분 중에서 도움 말씀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삼족오] |
|
|
한왕충 |
<논형·설일> |
:"일중유삼족오." |
|
<회남자·정신훈>운 |
:"일중유준오." |
|
고유주 |
:"준, 유준야, 즉삼족오." |
우 |
<초사·천문>왕일주인 |
|
|
<회남자>(금본무)운 |
:"요명예앙사십일, 중기구일, 일중구오개사, 타기우익."칙삼족오당지일지정.우혹전위가일차자. |
|
<동명기>권사운 |
:"동북유지일지초, 서남유춘생지초, ……삼족오수하지식차초.희화욕어, 이수엄오목, 불청하야, 식초능불노, 타조수식차초, 칙미민불능동의." |
한사마상여 |
<대인부>경위 |
:"오내금목도서왕모학연백수, 대승이혈처혜, 역행유삼족오위지사." 칙일중신금삼족오, 차위주급사지조.금소견한화상전상유삼족오, 구미호작위서조서수열어서왕모좌방자본차. |
중국신화 - 陶陽(도양) - 상해문예출판사 |
'위대한 한민족'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주몽, 칭기즈칸의 선조 (0) | 2007.01.24 |
---|---|
삼족오 (0) | 2007.01.04 |
[스크랩] 고구려의 삼족오!!!!!!!!! (0) | 2007.01.04 |
[스크랩] 삼족오와 자오지환웅천황, 영토 이미지(펌) (0) | 2007.01.04 |
[스크랩] 훈족은 한반도에서 기원? -독일 ZDF 역사 다큐멘터리 팀 (0) | 2006.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