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이 올수록 가을이 다가올수록 / 산과물 봄볕이 따뜻하니 숨어있던 싹들 여린 얼굴 내밀고 가을바람이 불면 고운 단풍잎도 떠날 준비하지요. 인간사 매한가지 따뜻하면 모이고 차가우면 떠나듯 쌀쌀한 바람 불수록 서로 온기 보듬어 情으로 살아야지요. 2017. 09. 29. 운문 연습 2017.09.29
아침 향기 아침 향기 / 산과물 모닝커피 타임이 되면 갈색 커피향보다 더 그윽한 동료들의 아침 향기가 난다. 잎사귀 맺힌 아침이슬 떨어지면서 고운 꿈꾸는 장미꽃 흔들어 깨운 그 향기 2017.03.23. ☞ 아침 참새방앗간 운영자 강보선 선생님께 운문 연습 2017.03.23
유야무야(有耶無耶) 유야무야(有耶無耶) / 산과물 붕어빵에 붕어가 없고 칼국수에 칼이 없는 것처럼 집안에는 가장이 없고 사람들에겐 인정이 없구려. 2017.02.01. 운문 연습 2017.02.06
뿌리 내리기 뿌리 내리기 산과물 나무가 흙에 뿌리 내려 든든한 것처럼 사람은 정에 뿌리 내려 행복을 나눈다. 어딘가 뿌리를 내리고 싶다는 것은 마음에 의지할 사람이 많다는 것이다. 나무 뿌리가 건강해야 입과 줄기가 무성하여 태풍과 맞서는 것처럼 영혼이 건강한 뿌리를 나와 이웃이 나누면 함.. 운문 연습 2015.07.22
내 경험을 통해 본 칭찬과 인정 내 경험을 통해 본 칭찬과 인정 2009.06.19. 한관흠 사람을 변화시키는 외적 요인 중 가장 큰 것은 칭찬과 인정이다. 人間이란 용어처럼 사람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사람[人]의 사이[間]를 넓히는 것이 인간 본연의 속성이다. 칭찬은 귀신도 춤을 추게 한다는데, 하물며 사람이야말로 사회적인 동물이기 때.. 느낌표 2009.08.11
내 경험을 통해 본 칭찬과 인정 내 경험을 통해 본 칭찬과 인정 2009.06.19. 산과물 사람을 변화시키는 외적 요인 중 가장 큰 것은 칭찬과 인정이다. 人間이란 용어처럼 사람은 성장하는 과정에서 사람[人]의 사이[間]를 넓히는 것이 인간 본연의 속성이다. 칭찬은 귀신도 춤을 추게 한다, 어쩌면 사람이야말로 사회적인 동물이기 때문에 .. 산문 연습 2009.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