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군을 이야기하자 정윤재 교수님은 한국학중앙연구소의 세종연구소 소장님으로 계시는 분이시며, 세종의 한글 창제 과정에서 보여준 정치적 리더십을 연구하고 계시는 분입니다. 정윤재 교수님께서 지난 10월 4일 개천절을 맞아 <동아일보>에 기고하신 글을 올려 드립니다. [동아광장/정윤재]신나게 단군을 이야기.. 개천절 자료 2006.11.20
단군조선 부정… 뿌리 없는 나라 자초 단군조선 부정… 뿌리 없는 나라 자초[동북공정 대해부2] 역사학자 이덕일 ‘국사 교과서’에 일갈하다 “중국 기자조선이 한민족 원류 압박…식민사관부터 바로잡아야 한다” 우리 국사 교과서는 단군조선을 부정하고 있다. 중국 동북공정의 원뿌리인 탐원공정의 노림수는 바로 이 대목이다. 고조.. 정체성 교육자료 2006.10.27
학교장 중심의 장호원고 단군상 철거 계획 장호원고등학교 단군상 철거에 대한 나의 생각 학교는 학교장 개인의 것이 아닙니다. 학교장이 바뀔 때마다 나무가 잘라지고, 동상이 바뀌고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장호원고등학교 유교장 선생님께서는 그동안 아무 문제없던 단군상을 학교운영위원들을 설.. 부끄러운 한국인 2006.10.26
단군조선 관련 잘못된 인식 단군조선 관련 잘못된 인식 1. 신화는 실존 역사에 근거 ◇ 단군왕검-곰이 사람이 되어 환웅과 결합 ◇ 고구려 주몽 -알에서 태어남 ◇ 신라 박혁거세-알에서 태어남 ◇ 가야 김수로왕-알에서 태어남 ☞ 각국의 신화가 이처럼 꾸며진 것은 당시의 믿음과 관련하여 대대손손 신성시하기 위한 일종의 문.. 개천절 자료 2006.09.29
[스크랩] 우리나라는 왜 國史를 가르치지 않는가? 왜 國史를 가르치지 않는가? [시론] 왜 國史를 가르치지 않는가? 얼마 전 중국에서 사람을 태운 인공위성이 발사돼 무사히 기지로 귀환했다는 뉴스를 접하면서 크게 감동했던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감동의 원인은 아주 간단하다. 일인당 국민총생산(GNP)이 1천달러 미만이면 후진국으로 분류돼야 마.. 부끄러운 한국인 2006.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