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논술

논술의 핵심 10가지

산과 물 2006. 9. 11. 08:25
논술의 핵심 10가지

 

논술의 핵심 10가지 (서울대 제시)


  가. 문제의 파악

  문제의 파악이란 곧 문제가 원하는 내용이 무엇인가를 정확하게 포착해서 그 내용을 차근차근 살펴 풀어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문제가 어느 것이 옳은지를 묻고 있다면 옳은 것을 가려내고, 원인을 밝히라고 하면 왜 그렇게 되었는지 인과 관계를 살필 수 있어야 한다.


  나. 사실의 이해

  사실이란 논술을 할 때 논의하고자 하는 대상이 지닌 모든 것을 말한다. 논의하고자 하는 대상은 늘 여러 가지 다른 측면을 지니기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측면을 포괄적으로 살필 수 있어야 제대로 된 논술문을 쓸 수 있다. 사실에 대한 이해는 구체적이고 정확한 이해여야 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다. 해결의 능력

  논술이란 어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실과 논리에 맞춰 타당한 해결 방안을 찾아내는 것이다. 보통 문제는 설명이나 선택, 규명, 권고 등의 모습이나 비교나 대조 또는 인과 관계의 양상 등으로 해결책을 포함하고 있다. 문제가 어떤 해결을 요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거기에 맞는 절차를 찾는 것이 관건이다.


  라. 논지의 적절성

  논술은 어떤 문제에 대한 의견이나 주장을 펴는 글이다. 그리고 그런 의견이나 주장은 남들이 수긍할 만큼 타당한 것이어야 하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사실에 근거해야 하고 적절한 논지를 갖추어야 한다. 논지의 적절성은 과정과 결과 모두에 관계된다. 논술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창의성이 필요하고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보편성을 지녀야 한다.


  마. 논의의 일관성

  논술을 하는 데 있어서 논점을 일관되게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처음에 화제로 삼은 주제가 샛길로 빠지는 것은 대체로 개요 짜기가 부실한 경우에 발생한다. 일관성은 단순히 주제면에 있어서만이 아니라, 표기법이나,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도 해당한다.


  바. 논거 제시의 적합

  논거란 자신의 견해를 밝히기 위해 제시하는 근거로 논거는 논술의 기본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논거는 우선 확실한 사실이어야 하며 풍부해야 하고 대표성이 있어야 한다. 논거 없는 주장은 허공을 향해 내지르는 외침이나, 현수막에 걸려 있는 구호와 다름이 없다.


  사. 논증 방식의 타당성

  논술은 반드시 논리적으로 입증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러한 논증 방식의 타당성이란 규칙과 절차를 얼마나 잘 지키는가에 달려 있다. 논증은 추론의 과정을 통해서 완성된다. 즉, 연역, 귀납, 유추, 귀류법 등을 잘 이용해야만 타당하고 논리적인 논증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아. 어휘의 정확성과 풍부성

  논술의 어휘는 문맥에 관계없이 그 자체로 정확해야 한다. 각 개념에 대해 정확히 알아야 함은 물론 적확한 표현을 뒷받침하는 정확한 표기 능력도 길러야 한다. 적확한 표현은 풍부한 어휘력에 크게 의존함을 유념하여 항상 국어사전을 가까이 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자. 문장의 정확성과 효율성

  논술문에서 의미를 정확하게 전달하려면 올바른 문장을 쓰는 것이 중요하다. 정확한 문장이란 표기가 정확하고 그 뜻이 명료하게 전달되는 문장을 말한다. 또한 문장은 효율성을 지니고 있어야 하는데, 이런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 논리적인 사고 과정이 명쾌하게 드러나도록 문장을 써야 한다. 불필요한 감탄문이나 의문문의 빈번한 사용과 구어체로 적당히 넘어가려는 문장은 논술에 효율성을 저해하는 요소들이다.


  차. 글의 단위성과 유기성

  한 편의 글을 이루는 각 부분들은 그 글에 있어서 꼭 필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야 한다. 문단은 하나의 소주제를 갖는 단위로서 여러 문장들이 소주제를 중심으로 단단히 결집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각 문단이 제 나름의 생각으로 결집되어 있기는 하되 각 문단은 유기적으로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어야 한다. 그리고 문단이 하나씩 추가되면서 글을 전개시켜 나갈수록 결론을 향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국어 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영우 논술 작성 실습  (0) 2007.04.02
박정하 논술 작성 실습  (0) 2007.04.02
[스크랩] 일본식 한자어를 이렇게 쓰자  (0) 2007.02.12
논술 답안 작성 요령  (0) 2006.10.24
[스크랩] 논술의 10가지 요령  (0) 2006.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