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분
|
내용 |
소개 |
0 목 : 주름버섯목(Agaricales)
0 과 : 무당버섯과(Russulaceae)
0 속 : 젖버섯속(Lactarius)
0 학명 : Lactarius hatsudake Tanaka
0 국명 : 젖버섯아재비
0 속명 : 없음 |
시기 |
1년생 버섯으로서, 7월 중~9월 중에 채취할 수 있다. |
장소
(아래 자료 참조) |
0 분포 : 전국적이다.
0 해발 : 상관이 없다.
0 방향 : 북쪽, 북서쪽 및 북동쪽 등의 습한 곳이다.
0 서식처 : 기슭 및 능선에 있는 혼합림의 지상이다. |
군락 |
단생내지 군생으로 성장한다. |
크기 |
0 가로 : 8cm 내외
0 세로 : 8cm 내외
0 높이 : 5cm 내외 |
모습
(아래 자료 참조) |
0 형태 : 둥근산 모양에서 편평형으로 되며, 가운데가 오목하다.
0 표면 : 담홍갈색내지 담황적갈색인데 상처가 나면 청녹색으로 변하며,
동심원상의 고리 무늬가 있으며, 매끄럽고 끈적기가 조금 있다.
0 밑면 : 표면과 같은 색이며, 역시 상처가 나면 청녹색으로 변하고 다소 넓은 주름살이 있다.
0 자루 : 표면과 같은 색이며, 속은 차있다. |
성질 |
갈라진다. |
향기 |
향기는 특별하게 없다. |
맛 |
씹는 맛은 좋지 않지만, 깊은 감칠맛이 있다. |
독성 |
독성분은 크게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끓는 물에 우려낸 후에 그 물을 버리고 조리할 필요는 없다.
그리고 생식을 하여서는 아니된다.
아울러 적절하게 먹어야 한다. |
혼동 독버섯 등
(아래 자료 참조) |
0 강독버섯인 흠집남빛젖버섯과 혼동될 수 있으니 서로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0 준독버섯인 노란젖버섯과 혼동될 수 있으니 서로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클로린(Choline)이라는 독을 가지고 있다.
이 성분이 체내에 들어오면 산소에 의해 아세틸클로린으로 전환되면서 독성을 일으킨다.
먹었을 때의 증상은 혈압 강하, 심장박동 저하, 동공 수축, 혈류 증가, 소화기관의 운동촉진
등이다.
해독제로는 아드레날린(Adrenaline)이 있다. |
병행 |
0 약용버섯 : 불로초, 구름송편버섯(운지) 등
0 식용버섯 : 젖버섯류, 달걀버섯류 등 |
이용 |
요리, 발효, 침출 및 추출, 술담금 |
■ 장소
■ 모습


(중년기)
■ 혼동 독버섯 등
0 흠집남빛젖버섯 ; Lactarius scrobiculatus (Scop.:Fr.) Fr.


비교 |
젖버섯아재비
(식용버섯)
|
흠집남빛젖버섯
(강독버섯) |
모습 |

|

|
형태 |
- 갓 표면 깔이 담홍갈색 등이다.
- 전 부위에서 청녹색의 변화가 있다. |
- 갓 표면 색깔이 옅은 황색 등이다.
- 청녹색의 변화가 없다. |
시기 |
|
|
장소 |
음지의 기슭의 지상에서 성장한다. |
음지의 기슭의 지상에서 성장한다.(중복) |
크기 |
|
|
0 노란젖버섯 ; Lactarius chrysorheus


비교 |
젖버섯아재비
(식용버섯)
|
노란젖버섯
(준독버섯) |
모습 |

|

|
형태 |
갓 표면 색깔이 담홍갈색 등이다. |
- 갓 표면 색깔이 황색을 띤 연한 살색이다. |
시기 |
|
|
장소 |
음지의 기슭의 지상에서 성장한다. |
전방향의 기슭의 지상에서 성장한다.(일부 중복) |
크기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