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적 감성을 추구하는 소비 유형, 헤도니스트 효과
소비자들의 구매 패턴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면서, 관련 전문가들은 이들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갖가지 용어들로 정의 내리고 있다. 이에 앞으로 5편에 걸쳐 이러한 소비자 구매 패턴 중, 부자들은 상대로 하는 프레스티지 마케팅에서 많이 활용되는 5가지의 마케팅 효과들(퍼펙셔니스트 효과, 헤도니스트 효과, 베블렌 효과, 밴드웨건 효과, 스놉효과)을 차례로 살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다. 오늘은 마지막으로, “헤도니스트 효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자.
헤도니스트 효과는 감성적 가치를 구매 결정에 우선 요소로 보는 것으로, 다른 제품에 비해, 미적 특성이나 디자인 등의 감성적 요소가 뛰어난 제품은 추가적인 가격을 지불하고서라도 구매하는 성향을 가진 소비 효과이다.
헤도니스트 효과의 대상이 되는 소비자들을 퍼펙셔니스트 효과의 대상이 되는 소비자들과 비교해 보면, 퍼펙셔니스트들이 상품의 품질적 특성에 주로 집중하는 반면 헤도니스트들은 상품의 미적 특성에 주로 집중한다는 것이 주된 차이점이다. 따라서, 같은 자동차를 구입하고자 하더라도 퍼펙셔니스트들이 품질과 안전에 주안점을 두는 반면, 헤도니스트들은 감성적인 느낌과 미적인 디자인 등에 더 신경을 써서 구매 결정을 한다는 점이 다르다.
헤도니스트들은 상품을 보면서 느끼는 자신만의 감정과 느낌 또는 상품의 소비 과정에서 느끼는 즐거움, 흥분, 만족감 등을 상품 구매 결정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판단 근거로 삼는다. 하지만, 이러한 소비 성향을 가진 소비자들을 공략할 때 주의할 점이 있다. 디자인이나 미적인 요소라는 것에 대한 기준은 주관적인 성향이 강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장을 담당하는 마케터는 제품 자체의 감성적 측면뿐만 아니라 구매 전 정보 수집에서부터 최종적인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체 소비 프로세스에서 해당 소비자들이 어떤 포인트에서 어떤 느낌을 받을 것인지를 세심히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결국, 단순히 소비자 감성을 유행이나 트랜드로 인식하고, 이를 쫓아가기 보다는 이들의 성향을 아주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파악한 후에, 이에 맞춘 상품 개발 전략과 4P 전략을 세워야 할 것이다. 다만, 여기서는 가격 결정에 있어서 감성적인 가치만 뒷받침되어 준다면 고가 전략을 사용해도 무방해 보인다.
http://blog.naver.com/ilovedue/130005576734
'시사상식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상식 모음 (0) | 2007.02.15 |
---|---|
[스크랩] 스놉 효과 (0) | 2007.02.15 |
[스크랩] 밴드웨건 효과 (0) | 2007.02.15 |
[스크랩] 베블렌 효과 (0) | 2007.02.15 |
프레스티지 마케팅의 종류 (0) | 2007.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