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혁신 기획
Ⅰ. 학교 혁신 목표와 추진 방침
1. 학교 혁신의 목표
학교 구성원 모두의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학교 혁신 동참을 통하여
학교 수업 방법과 평가 방법의 혁신적 개선을 통한 학교 교육에 대한 고객 만족도 제고
새로운 사회가 요구하는 세계 일류를 지향하는 글로벌 인재 육성
2. 학교 혁신 추진 방침
단위 학교 혁신 점화를 위해 학교 구성원에 대한 연수 강화
학교 혁신 조직의 체계화로 혁신 마인드 확산 및 역량 강화
학교 혁신 매뉴얼 개발․보급을 통한 학교 현장의 이해도 제고
일하는 방식의 개선을 통한 혁신 활동 가속화 및 극대화
Ⅱ. 학교 혁신의 영역 및 추진 방법
1. 학교 혁신의 영역
※ 학교 혁신의 영역은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관련된 모든 교육활동을 포함하며, 학교 특성에 맞게 중점 영역을 두어 추진할 수 있음
2. 학교 혁신 추진 방법 및 주체
계획(Plan)-실행(Do)-평가(See)-환류(Feed Back)의 과정을
I -START 운동으로 승화
Teaching-learning
method -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
-Speed(신속) : 원스톱 업무처리로 피해를 최소화
-Service(도움) : 친절하고 예절바른 자세로 봉사
-Satisfation(만족) : 고객 감동 서비스를 통한 만족도 제고
교사, 관리자, 행정직, 학부모, 지역사회 인사 등 학교 구성원 모두이며, 이들 모두가 주인 의식을 갖고 학교 혁신의 리더그룹, 추진그룹, 변화 관리자 그룹의 일원으로서 맡은 바 역할에 최선을 다할 때 학교 혁신이 성공할 수 있음
Ⅲ. 학교 혁신 추진 단계
1. 학교 혁신 기반 조성 및 자율 시행 단계(2006년)
2006년은 학생과 학부모, 지역 사회의 요구를 겸허하고 냉철하게 수용하여 학교 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려는 마인드를 갖는 의식 변화의 단계
학교 혁신을
수행할 수 있는 조직 구성 및 마인드 제고
Ⅳ. 기대효과
1. 3S 운동의 지속적 실천을 통한 고객 만족도 제고
2. 교육혁신을 통한 공교육 신뢰성 회복
3. 기대와 감동을 주는 희망 경기교육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