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섯

자작나무

산과 물 2005. 10. 17. 21:50
자작나무

깊은 산 양지쪽에서 자란다. 높이 20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흰색이며 옆으로 얇게 벗겨지고 작은가지는 자줏빛을 띤 갈색이며 지점(脂點)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삼각형 달걀 모양이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다. 뒷면에는 지점과 더불어 맥액(脈腋)에 털이 있다.

암수한그루로서 꽃은 4월에 피고 암꽃은 위를 향하며 수꽃은 이삭처럼 아래로 늘어진다. 열매이삭은 밑으로 처지며 깊이 4cm 정도이고 포조각의 옆갈래조각은 중앙갈래조각 길이의 2∼3배 정도이다. 열매는 9월에 익고 아래로 처져 매달리며, 열매의 날개는 열매의 나비보다 다소 넓다.

나무껍질이 아름다워 정원수·가로수·조림수로 심는다. 목재는 가구를 만드는 데 쓰며, 한방에서는 나무껍질을 백화피(白樺皮)라고 하여 이뇨·진통·해열에 쓴다. 천마총에서 출토된 그림의 재료가 자작나무껍질이며, 팔만대장경도 이 나무로 만들어졌다. 한국(중부 이북)·일본에 분포한다.

♠ 간염에는 자작나무 껍질 10 ∼ 15g을 (1회분) 하루 2 ∼ 3회씩 1주일 정도 끓여 먹는다.

♠ 기관지염(氣管支炎) 나무껍질 10~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 방광염(膀胱炎)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0일 정도 복용한다.

♠ 설사(泄瀉)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한다.

♠ 이질(痢疾)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3~4회 복용한다.

♠ 치은염(齒은炎)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 편도선염(扁桃腺炎)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 황달(黃疸) 나무껍질 12~1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