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교육자료

한국의 사상(최치원의 난랑비서문)

산과 물 2005. 5. 19. 00:43
 

난랑비서(鸞郞碑序)

 

 

  신라 경덕왕 때 유학자 최치원(857~?)이 지은 글. 내용은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본문에 "우리 나라에 玄妙한 道가 있으니 이를 風流라 이른다. 그 敎의 기원은 仙史에 자세히 실려 있다. 실로 이는 三敎를 포함하여 중생을 교화한다. 그 나라에 충성하는 것은 노사구(魯司寇:孔子)의 主旨이며, 또 그 無爲의 일에 처하고 말없는 敎를 행하는 것은 주주사(周柱史:老子)의 종지이며, 모든 악한 일을 하지 않고 착한 일만을 행함은 축건 태자(竺乾太子:釋迦)의 교화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그 교의 기원은 仙史에 자세히 실려 있다."라고 한 것으로 보아 최치원이 '난랑비서'를 썼을 당시에는 「선사」라는 문헌이 현존했고 거기에 화랑도의 정신이라고 할 '풍류, 현묘지도'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었던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 실로 이는 삼교를 포함하여 중생을 교화한다."것은 당시 삼교의 특성이 서로 공통성을 갖고 있어서 융합, 조화될 수 있었다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는 점을 짐작할 수 있다. 또 현묘지도와 유, 불, 도의 어느 하나가 아닌, 이들 삼교의 종교적 이념을 구비하고 있는 '현묘한 도'가 별도로 있었다는 뜻이다. 여기서 신라 화랑도의 바탕이 현묘지도, 즉 풍류에 있었음을 알 수 있고, 한편으로 당시 유, 불, 도 사상에 대한 이해의 정도를 엿볼 수 있다.

 

※ 다음 학습지의 물음에 자신의 생각을 적어 봅시다.



1. 우리 조상들의 동물 사랑과 관련된 민속에 어떤 것이 있었는지 열거해 보자.


2. 지금 나와 우리 가족들은 환경 및 자연 친화적인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3.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조금만 신경쓰면 할 수 있는 환경 친화적인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열거해 보자.


4. 최근 일어나는 각종 자연재해는 자연이 우리에게 주는 경고의 메시지이다. 자연도 하나의 유기적인 생명체라 볼 때, 요즘 일어나는 자연 재해는 우리에게 무언가를 경고하는 것 같다. 각자 자신의 생각을 정리해 보자.



5. 최치원의 <난랑비서문>에 우리 고유종교인 풍류도는 이미 유불선 3교를 포함하고 있다고 한다. 이것은 종교가 분리되기 이전의 모체종교이며 이미 오래전부터 우리의 고유한 사상이 있었음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학교에서 어떤 작품의 배경사상을 분석할 때조차도 한국사상을 말한 적이 없다. 이제, 여러분이라면 한국사상을 무엇이라 정의하겠는지 간략히 설명해 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