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실무 자료

민주적 학교문횐 조성을 위한 노력

산과 물 2016. 4. 5. 09:35

민주적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노력

 

모둠명 교육감의 횡설수설

교감 6명의 감(느낌)

 

발표 서원고 한관흠

작성 신갈중 최준태

 

창의적으로 자기 소개

한관흠 유불선 통합

유년기 나의 성생활 소개(오해)

 

1. 민주주의 지수

덕불고필유린, 인사불성, 횡설수설

 

2. 관리자 중심의 민주주의

짱돌 : 강해서 부딪히면 다른 돌에게 상처를 줌

자갈 : 타인을 위해 자신의 모서리를 스스로 갈음

 

교장의 변화

화이부동

삶은 계란

 

3. 민주적 학교문화는 시스템으로

- 사람이 바뀌어도 시스템에 녹아 시행착오 최소화

- 교사협의회, 학생자치회, 학부모회

- 학교운영위원회

- 지시형이 아니라 수용 지원

- 자치회별 아이디어 공모 및 기획안 지원

- 교육비전 모두가 참여

(특색 역점사업)

- 학생자치회 아이디어 기획안 검토 예산 지원

- 학부모상주실 본관 밖으로

- 각종 발표 자료 학부모가 제작

(장소만 제공 갈등 요인 제거)

- 행정공무직, 조리종사원 등의 비정규직에 대한 적극적 배려

(관계 개선을 통한 갈등 해소)

 

4. 공동체 모두가 공공의 이익 추구

- 사람은 본질적으로 자신의 편한함을 추구(매슬로우 안전의 욕구)

- 관리자부터 실천

(윗물이 흐리면 아랫물은 고여 썩는다.)

함께하면 민주적이다는 착각

(합창 연주 무관심자 스트레스 )

5. 교육의 3주체

존재의 이유? 학생 때문

학부모는 법적으로 교육권을 가지고 있으며 생계를 위해 전문가인 선생님에게 교육권을 위탁 위임한 것임

고로 법적 문제 생길시 얼마나 적극적으로 부모 역할을 대행했는가에 따라 징계 감경

 

6. 현실때

교육주체 교사

객체 학생

겐세이꾼 학부모

 

나이에 관계없이 부모의 입장에서 가르쳐야

학생들과 싸우지 않는다.

부모가 패는 것은 죽으라고?

혼내는 것은 나가라고?

모두가 자녀의 행복을 위한 나름의 수단과 방법

교사와 학생이 싸우고 저새끼 퇴학시켜 달라

교권보호위원회 열어서

원인 제공 교사라면?

학부모는 모든 수단을 사용해 법적 대응 그 결과는 공무원인 교사가 가장 큰 피해

 

7. 설봉중 교장선생님 스키프에서

- 당신을 떠난 지난 한 주는 매우 거시기 했습니다.

-

 

이상은 교육을 사랑하는 6명의 교감의 느낌을 모은 발표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