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정보

24절기 쉽게 외우는 법

산과 물 2013. 11. 14. 14:16

 

24절기를 쉽게? 하루하루 / 삶이란?

2010/06/16 09:55

 

복사 http://mirr7715.blog.me/107624535

전용뷰어 보기

전에..

태양력과 태음력..

그리고 천지십간을 가지고 주절대다가..

오늘은 문득..

태음력 안에 녹아있는 태양력..

24절기를 생각해보았습니다..

 

외우기 힘들죠..

뭐 사실..

외우시려는 분도 없구요..ㅎㅎ

혹시나 시험에 나오면..

도움들 되시라고..

짧은 글 올려봅니다..

 

원을 하나 그립니다..

 

 

 

참..쉽죠..^^;;

그 다음에 원을 4등분 하며..

그 각각의 만나는 점에..

우리가 가장 잘 아는..

춘하추동을 적어봅니다..

 

그 뒤에는?

그렇지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와같은 24절기를 적는거지요..^^

 

 

 

자..이제 보면..

봄에서 여름, 여름에서 가을, 가을에서 겨울의 원이 되었습니다..

요 안에..

다시 각각 절반으로 나눠서..

춘하추동의 앞에..

들어간다는 뜻의 입자를 써주면..

 

 

 

보세요..

24절기중에..

벌써 8개를 완성했습니다..^^

자 그 다음은..

이름을 가지고 해봅니다..

 

우수와 경칩을 들어보셨죠?

봄이 되기 전에..

날씨가 풀리고 봄바람이 분다는 뜻의 우수..

그 다음에..

동면하던 짐승이 깨어난다는 경칩..

 

둘 다 겨울에서..

봄으로 가는 사이에 있습니다..

아까 분명히..

들어간다는 뜻의 입자를 붙인다 했으니..

위 두 절기는..

봄으로 들어가는 입춘 다음에..

봄인 춘분이 되기 전에 있겠죠?

 

그럼 그 안에 두개 적어놓습니다..(벌써 10개!!!!)

 

그 다음에는 추위와 관련된..

소한과 대한을 봅시다..

1년중 가장 춥다는게 소한입니다..

그럼 소한이 먼저겠죠?

그 다음이 대한일거고..

그럼 이 둘은..

우리나라에서..

추운것은 겨울이 어느정도 지나서니까..

동지의 옆에서..

입춘의 사이에 두 절기를 넣어봅니다..

아!!! 벌써 12개..

절반 했습니다..^^

 

그러고보니 절기중에..소X, 대X 하는게 많죠..

소서와 대서, 소설과 대설..

그럼 그것들도..

위에 소한과 대한처럼..

소서와 대서는 덥다는 뜻이니..

여름 하지가 지난 뒤에 두개..

소설과 대설은 눈이 온다는 뜻이니..

겨울이 들어선 입동과 동지 사이에 적어놓으면..

 

우리는 벌써 16절기를 적었습니다!!!! ^^

 

이제 남은것들은..

청명과 곡우..

소만과 망종..

처서와 백로..

한로와 상강입니다..

이 절기들..

이름을 좀 풀이해봅니다..

그리고 빈 곳을 잘 보세요..^^

 

이제 그림에 빈 곳은..

춘분과 입하 사이..

입하와 하지 사이..

입추와 추분 사이..

추분과 입동 사이의 네군데입니다..

그럼..

이름을 풀어서 사이사이 넣어 봅시다!~

 

우선 청명..날이 풀리기 시작해서 화창해진다 하니..

당연히 봄이 지나서겠지요?

그 다음 곡우..

봄비가 곡식을 윤택하게 한다는 뜻이니..

청명과 곡우는 날이 좋아지며..

비가 시작되는..

춘분에서 여름의 입구인 입하 사이에..

살짝 적어봅니다..^^(18개입니다..ㅋ)

 

다음으로 소만..

만물이 생장하여 가득찬다는 의미..

망종..씨뿌리기 좋은 계절이라는 뜻..

그럼..

당연히..

입하에서 하지 사이에 들어가겠죠? ^^

그렇게 또 적어주고!~(20개!~)

 

처서는 더위가 꺽여서 시원해진다는 뜻이고..

백로는 밤에 기온이 떨어져 이슬이 맺힌다는 뜻이니..

가을의 시작인 입추와 추분사이에 넣어줍니다..

(아싸!~ 22개!~ ^^)

 

그 다음은..

뜻풀이 안해도 아시겠지만..

그래도 해왔으니..

한로는 이슬이 찬공기로 서리가 되기 직전의 뜻..

상강은 된서리가 내린다는 뜻..

뭐..

그렇습니다..

남은 공간인 추분과 입동 사이에 적어봅니다!~

 

 

자!~

완성된 24절기입니다..

어떠세요?

참 쉽죠잉? ^^

 

물론 24절기의 명칭을 조금 알아야 되긴 하지만..

명칭만 알고 있다면..

순서는 은근..쉽습니다..^^

 

시험에 나올지는 모르지만..

옛 조상들이 사용했던 태음력에서..

태양력이라 할 수 있는 절기들..

알아두면 나름 편리합니다..^^

 

- 미르

[출처] 네이버 24절기를 쉽게? |작성자 미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