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읽기교육 자료

산과 물 2009. 8. 11. 08:49

 

 

읽기교육 :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이 성 영

(춘천교육대학교 국어교육학과 교수)

 

 

1. 읽기교육의 목표

2. 읽기교육의 내용 : 기능과 전략

3. 읽기교육의 방법

 

 

1. 읽기교육의 목표

 

가. 문식성 기르기, 문맹(Illiteracy) 뛰어넘기 (독해, 기능)

나. 평생 독자 만들기, 책맹(Aliteracy) 뛰어넘기 (독서, 태도)

 

‘PISA 2000(program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15세 학생 대상(주로 고1)

32개국 참여(우리나라 포함 OECD 28개국 + 중남미·동남아 4개국)

① 전체 읽기 능력 : OECD 28개국 중 6위

② 하위 영역별 수준

정보 확인 : 5위, 해석 : 6위, 비판적 고찰 : 8위

③ 수준별 수준

상위 5% 20위 / 하위 5% 1위

④ 읽기에 대한 흥미도 : 27위

 

2. 읽기교육의 내용 : 기능과 전략

 

※ 읽기 이론의 변화 : 텍스트(글) 중심 이론 → 독자 중심 이론(스키마이론)

- 출발점 : 하나의 글에 대한 독해 결과는 독자마다 다르다.

- 사례 : 중의적 텍스트 읽기, 이야기 스키마 등

토니는 어떻게 빠져 나갈 것인지 궁리하면서 바닥에서 천천히 일어났다. 그는 잠시 생각에 잠겼다. 상황은 좋지 않다. 그에 대한 압박이 이전보다 약해지기는 했지만 그는 여전히 붙잡혀 있다. 토니는 현재 상황을 곰곰 생각해 보았다. 그를 잡아 두고 있는 힘은 여전히 강했지만, 토니는 이를 극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기회를 잘 잡아야 한다. 먼저 번의 무모한 시도로 인해 혹독한 대가를 이미 치룬 뒤이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제 더 이상 이 상태를 지속할 수는 없다. 고통이 너무 심하기 때문이다. 이제 무엇이든 행동을 해야 할 때가 되었다. 성공이냐 실패냐 하는 것은 오직 앞으로 몇 초 안에 그가 어떻게 움직이는가에 달려 있다.

(Anderson, etc., 1977)

① 독자들이 소유하고 있는 스키마는 독해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零價(default value), 비계 역할

② 독해는 상향식 과정과 하향식 과정의 상호작용(보완) 과정

상향식(data-driven, bottom-up) : 자료 중심, 예견이나 스키마 수정

하향식(concept-dirven, top-down) 예견, 목적 중심, Garden Path 현상

유능한 독자 : 스키마를 잘 이용하며, 적절하지 않은 스키마는 쉽게 포기

미숙한 독자 : 스키마에 너무 의존하거나(엉뚱한 이해), 글에 너무 의존

 

가. 훑어 읽기(보기)

미리 훑어 읽기 : 소제목, 요약, 도표나 삽화 등. 배경 지식 활성화 및 예측

개요 훑어 읽기 : 전체의 대략적인 개요 파악하기

정보 훑어 읽기 : 특정 정보의 위치 확인이나 존재 여부 파악

다시 훑어 읽기 : 정독 이후 정리를 위한 다시 훑어 읽기

 

나. 배경 지식 활성화하기

: 미숙한 독자 -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해 아무 것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경향

1) 훑어 읽기를 통한 내용 예측하기

2) 제목이나 핵심어에 대한 자유 연상하기

3) 생각 그물 만들고 보완하기

: 훑어 읽기 - 자유연상 - 범주화, 명명화 - 읽고 수정 보완

4) 십자말 맞추기

: 핵심어나 신출어 등으로 구성된 퍼즐 맞추기

 

다. 질문만들기

: 학생들의 역할은 ‘답하기’가 아니라 ‘묻기’

1) reQuest(Reciprocal Questioning) method

① 한 문단씩 교사와 학생이 번갈아 질문하고 답하기

② 익숙해지면 모둠원끼리, 짝과 돌아가며

2) QARs(Question-Answer Relationships)

: 질문 유형과 답의 출처 사이의 관계에 대해 인식시키기

명시적 질문 - 텍스트 바로 거기에 reading the line

텍스트 암시적 질문 - 행간에 reading between the line

스키마 암시적 질문 - 텍스트와 내 머리에 reading beyond the line

3) QtA(Questioning the Author) : 가상 저자에게 질문하기

※ SQ3R(Survey-Question-Reading-Recite-Review)

※ 읽기전 질문과 읽은후(즉시, 지연) 질문의 기억에 미치는 효과 차이

읽기전 > 읽은후 즉시 > 읽은후 지연 (선행 조직자의 역할)

 

라. 정교화(상세화, 추리․상상)하면서 읽기

1) 추론 훈련은 능숙한 독자들보다 미숙한 독자들에게 더 효과가 있다.

2) 추론을 이끌어 내는 방법

- 언어 표현을 통한 추론 : 그녀는 자작부인이지만, 그는 단지 남작이었다.

- 상황을 통한 추론 : 시계 소리에 놀라 눈을 떠 보니 벌써 7시였다.

한참 산을 오르다 문득 시계를 보니 벌써 7시였다.

- 논리적 추론 : 철수는 영희만큼은 크지 않지만 순희보다는 크다.

누가 제일 큰가?

 

마. 중심 내용 파악하기

1) 읽기 능력의 핵심

2) 단계적이고 장기적인 훈련의 필요성

① 어휘 수준의 중심어 찾기 (찾기, 구성하기, 분류하기 등)

② 문장의 중심 내용 찾기

③ 단락의 중심 내용 찾기

- 중요도 평정하기

- 사소한 내용 순으로 삭제하기

- 중심 내용 선정하기

- 중심 내용 구성하기

④ 글 전체의 중심 내용 찾기(上同)

 

바. 구조 파악하기

1) 구조 유형에 대한 인지가 독해에 미치는 효과, ‘선행 조직자’ 역할

- 묶기(chunking) 효과 : 마법의 수 7±2

- 신근성(recency) 효과와 초두(primacy) 효과

2) 필요성 인식시키기

자료 1

고무신, 스웨터, 빵, 청바지, 운동화, 우유, 구두, 티, 요구르트, 양복, 장화, 된장찌개, 반바지, 김치, 나막신

자료 2

옷 : 스웨터, 청바지, 티, 양복, 반바지

신발 : 고무신, 운동화, 구두, 장화, 나막신

음식 : 빵, 우유, 요구르트, 된장찌개, 김치

3) 구조 파악 연습하기

가) 글의 장르 특성 및 전개 유형 알고 익히기

나) 표지어 활용하기

다) 문단 나누기 : 스스로 하기

라) 도해(그래픽) 조직자(graphic organizer) 활용하기 → 스스로 만들기

 

사. 점검 및 조정하면서 읽기(초인지적 읽기)

1) 필요성

: 자기 점검 전략의 활용 여부

- 능숙 독자 : 문제가 있는 글을 이해하는 데 시간이 많이 걸림

- 미숙 독자 : 차이가 없음

2) SMART 프로그램 : Self-Monitoring Approach to Reading and Thinking

- 이해 여부 표시하며 읽기(문장별, 문단별로)

- 문단 혹은 절의 끝에서 이해한 내용 자기 말로 설명하기

- 이해 안 되는 부분 해결하기

- 문제의 유형 판단하기(단어, 문장 구조, 내용 분야 등)

- 해결 전략 적용하기(사전, 다른 구조로, 앞뒤 부분 살피기 등)

- 도움 받기(교사, 친구 등)

 

아. 비판적 읽기

1) 필요성

- 비판적 사고 능력은 민주 시민의 기본 소양

- 명문(名文) 위주의 교과서로는 비판적 읽기 교육이 성립되기 어렵다.

- 인터넷 텍스트의 범람

2) 교수-학습

① 사실과 의견 구별하기

의도, 태도, 관점 파악하기

③ 정보(원)의 신뢰성 평가하기

④ 정보의 사실성, 논리성(합리성, 타당성), 공정성 평가하기

⑤ 정보의 가치, 텍스트의 효과 평가하기

⑥ 윤리성 평가하기(저작권, 네티켓 등)

3) 하이퍼텍스트 읽기 : 뷔페식 읽기 - ‘우려’와 ‘희망’

3. 읽기 교육의 방법

* 교수-학습 방법의 층위 : Approach, Method(model), Technique

 

<삼독법(三讀法)>

: 전통적인 읽기 수업 방법.

1) 통독(通讀):

․ 무엇에 대한 글인가 ․어떤 내용들이 나와 있는가

․ 어떤 종류의 글인가

2) 정독(精讀):

․ 짜임 파악하기(문단 나누기, 각 문단의 내용 파악하기)

․ 내용 이해하기(낱말 풀이, 구절 풀이, 비유법, 숨겨진 의미등)

․ 중심 내용 파악하기(주제, 요약 등)

3) 미독(味讀):

․ 내용 및 구조 음미하기 ․배운 내용 정리하고 넓히기

 

<DRA(Directed Reading Activity) - 안내된 읽기 활동>

: 삼독법의 기본 골격에 목표 기능 습득을 위한 활동 단계 추가.

 

1) 준비 단계 : 필요한 배경 지식 제공, 어휘 소개, 동기 유발

2) 안내된 읽기 단계 : 교사의 안내를 받아 내용 이해

3) 기능 연습 단계 : 목표로 하는 읽기 기능을 직접 가르치는 단계

4) 강화 단계 : 목표 기능 숙달을 위한 심화 활동(형식이나 내용이 비슷한 다른 글로)

 

DR-TA

: 학생 스스로가 설정한 ‘목적’이나 ‘예측’에 강조

 

1) 읽기 목적 설정하기(질문 만들기, 예측하기)

2) 읽기

3) 확인하기(달성, 대답, 일치 여부)

4) 기능 익히기(그 글을 읽는 데 특히 필요로 하는)

 

<KWL>

1) 절차

K : Know (아는 것)

W : Want to know (알고 싶은 것)

L : Learned (새로 알게 된 것)

2) 학습지의 예

제목 :

단계

내용

비고

K (아는 것)

 

 

W (알고 싶은 것)

 

 

L (새로 알게 된 것)

 

 

차후 학습 계획

 

3) 장점

① 수준별 수업 : 학생들의 스키마와 관심사, 수준에 부합하는 수업

② 능동적인 읽기 : 유목적적이고 깊이 있는 읽기

③ 자기주도 학습 장려 : 학습 과제를 스스로 정하고 스스로 해결

④ 동료 상호 교수 : 돌려 읽기, 발표, 모둠 학습 등

⑤ 전이 가능성 : 수업 전략→읽기 전략→학습 전략

⑥ 평가 자료로의 활용

 

<SQ3R>

1) 절차

S : Survey 훑어보기

Q : Question질문 만들기

R : Read읽기

R : Recite회상하기

R : Review정리하기

2) 유의점 : 선적 과정이 아니라 회귀적 과정(QRR)

3) 변형된 SQ3R : ‘수호천사친구’ 프로그램

수 : 수차례 훑어 읽어라

이 : 이름, ‘수호천사친구’를 써라.

제 : 제목, 목차에 유의하라.

호 : 호기심이 생기면 질문하라.

우 : 우선 읽는 목적을 되새겨라.

정 : 정말 궁금한 것은 기록하라.

천 : 천천히 내용을 파악하며 읽어라.

다 : 다루고 있는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라.

시 : 시각 자료도 활용하며 읽어라.

사 : 사사건건 메모하라.

변 : 변별하여 표시하라.

치 : 치밀하게 따져 보아라.

친 : 친숙해지도록 되새겨라.

말 : 말끔하게 정리하라.

고 : 고집스럽게 되새겨라.

구 : 구체적으로 정리하라.

간 : 간단하게 처리하고 넘어가지 말라.

직 : 직녀가 천을 짜듯 꼼꼼하게 정리하라.

 

<REAP>

1) 절차

R : Read읽기

E : Encode재진술하기

A : Annotate주석 달기

P : Ponder 숙고하기

2) 주석의 예

․ 요약하기 : 중심 생각과 그들 사이의 관계를 간단하게 정리한다.

․ 논제 찾기 : 필자가 제시한 논거와 그에 따른 결론을 찾아 적는다.

․ 질문 만들기 : 글의 내용을 답으로 하는 질문을 만들어 적는다.

․ 비판하기 : 글의 논지에 대한 독자의 반박, 그에 대한 예상응답을 적는다.

․ 의도(동기) 찾기 : 필자가 글을 쓴 의도나 동기를 찾아 적는다.

․ 의견 달기 : 글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이나 의견, 느낌 등을 적는다.

 

<PANORAMA>

1) 절차

P : Purpose목적 정하기

A : Adapting rate to material읽기 속도(방법) 정하기

N : Need to pose question질문 만들기

O : Overview훑어보기

R : Read and relate읽기

A : Annotate주석 달기

M : Memorize기억하기

A : Assess평가하기

2) PANORAMA 독서법의 특색 : 글을 읽는 ‘목적’ 중시.

 

 

 

<상보적 읽기 활동>

1) 개념

․ Reciprocal reading(teaching)

․ 글을 읽는 과정에서 교사와 학습자, 학습자와 학습자가 서로 역할을 바꿔 가며 상호 보완적으로 협력하는 읽기 활동. 교사의 역할을 점진적으로 학생에게 넘겨준다.

2) 강조하는 읽기 능력

글을 읽을 때 해야 할 일

명료화하기

뜻이 불분명하거나 여러 가지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 구절이나 부분을, 문맥이나 기타 실마리를 이용하여 그 뜻을 명확하게 정하기.

요약하기

글의 내용을 이해해 가다가 내용이 어느 정도 완결되거나 달라지는 부분을 확인한 다음, 그 부분까지의 내용을 간단하게 요약하기.

예측하기

읽은 부분까지의 내용이 요약되어 파악되었다면, 지금까지 나온 내용을 바탕으로 앞으로 어떤 내용이 더 나오게 될지 예측하기.

질문 만들기

글을 읽기 전에 각 장이나 절의 제목이나 목차, 도표, 그림 등을 바탕으로 질문을 만들고, 글을 읽어가는 과정에서도 궁금한 사항에 대해서 질문을 만들고 그에 대한 답을 찾으며 읽기.

 

<사고기술형 읽기>

1) 개념과 특성

- 개념 : 글과 관련하여 머릿속에 떠오르는 생각(경험, 수긍, 거부, 비판, 대안, 창의적인 아이디어 등)을 모두 기술하면서 읽는 읽기.

- 기원 : 사고구술법(thinking-aloud)

- 장점 : 능동적인 읽기에 대한 명확한 인식

자기 생각을 나중에 확인 가능

2) 사고의 범주와 기호의 예

사고 범주

기호

명료화하기(무슨 뜻이지?)

요약하기(여기까지 무슨 내용이었지?)

묻고 예측하기(왜 이렇지? 이 다음에는?)

?

경험 떠올리기(나는 이런 적이 있는데…)

내 생각 펼치기(내 생각에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