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자료
오스벨의 선행조직자
산과 물
2009. 8. 10. 11:00
오스벨의 선행조직자
유의미 학습(meaningful learning) |
학습자가 새로운 학습 내용을 나름대로 이해하는 상태로서 오수벨에 있어서는 새로운 지식이 기존의 정착 지식(anchoring ideas) 혹은 인지 구조에 연결되거나 포섭됨으로써 발생한다. |
유의미 학습의 조건 |
유의미한 학습이 되기 위해서는 세 가지의 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첫째, 학습과제가 논리적으로 유의미하여야 한다. 둘째, 학습자가 관련된 인지 구조 즉 관련 정착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셋째, 학습자의 유의미한 학습 태세 즉, 학습과제를 인지 구조에 구속적이고도 실사적으로 관련시키고자 하는 학습자의 성향이 있어야 한다. |
선행 조직자(Advanced organizer) |
오수벨이 제안하는 학습 이론의 주요 특성으로서 본격적인 학습 전에 주어지는 추상적, 일반적, 포괄적 선수자료로서 인지구조 내에 있는 관련 정착 지식과 관련을 맺도록 제공됨으로써 유의미한 학습이 발생하게 한다. 선행조직자에는 크게 친숙하지 않은 학습과제를 설명할 때 개념적 근거를 제공하는데 활용하는 설명 조직자(expository organizer)와 상대적으로 친숙한 학습과제를 학습할 때 기존 개념과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밝히기 위하여 제공되는 비교 조직자(comparative organizer)가 있다.
|
선행조직자(Advanced organizer)
선행조직자의 개념적 특징
- 배경
유의미 학습이 일어나는 과정은 새로운 지식이 학습자가 가지고 있는 기존의 정착 지식, 즉 인지 구조에 연결되거나 포섭되는 과정임
이 때, 기존의 정착 지식 혹은 인지 구조를 자극할 수 있는 내용이 있어야 하는데, 이것이 바로 선행조직자임 - 선행조직자의 정의
본격적인 학습 전에 주어지는 추상적, 일반적, 포괄적인 선수 자료로서, 이지 구조 내에 있는 관련 정착지식(relevant anchoring idea)과 관련을 맺도록 제공되는 것 - 선행조직자의 사례
책의 각 장 앞에 있는 개요와 같은 것
이러닝에서 생각해 보기
선행조직자의 종류
-
형태
- 설명 조직자(expository organizer)--친숙하지 않은 학습과제를 설명할 때 개념적 근거의 제공
- 비교 조직자(comparative organizer)--상대적으로 친숙한 학습과제를 학습할 때, 기존 개념과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밝히기 위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