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개념주의
재개념주의자들의 교육과정
1. 개념 : 교육과정에서 재개념화라는 용어는 교육과정 연구를 근본적으로 다른 탐구 관점과 방법으로 인식하고 연구해 보려는 시도로 본다.
2. ‘재개념주의자’ 용어 소개 : MacDonald에 의해서 처음 소개되었고, Pinar의 『교육과정이론화 : 재개념주의자』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3. McNeil : 재개념주의자들이 역사, 종교, 철학, 문학, 등 인문과학을 숭상하는 연성학문의 전통을 중시한다고 해서 연성 교육과정학자라고 하였다.
4. 이론적 기반 : 실존주의, 현상학, 해석학, 상징적 상호작용론, 문화기술법, 정신분석학, 지식사회학, 신마르크스주의 이론, 인문과학 등이 된다. 그리고 1970년대 이후 개별성, 다양성, 상대성, 창으성을중시했던 포스트모더니즘 등이 중요한 이론적 기반이 되었다.
5. 재개념주의자의 대표적인 학자
① Pinar : 재개념주의 운동의 실질적인 지도자이다.
② Apple : 지식사회학의 비판이론의 관점을 교육과정 현상에 적용하여 사회경제적 구조와 학교 지식으로서의 교육과정과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문화적 헤게모니 이론을 주장하였다.
③ Eisner
㉠ 교육적 사고에서 예술적 측면도 중요하게 고려할 것을 주장하였다.
㉡ 외현적 교육과정 및 잠재적 교육과정 뿐만 아니라 학교가 의도적으로 가르치지 않은 영교육과정의 중요성도 주장하였다.
6. Mazza의 개념주의적 탐구 접근의 분류
① 종래의 기술공학적 패러다임에 대하여 역사적 측면에서 비판하는 접근 : Kleibard, Apple, Franklin
② 주로 교육 목표에 대한 비판을 가하는 미학적, 철학적 접근 : Huebner, Greene, MacDonald, Eisner
㉠ 현상학과 실존주의 철학에 바탕
㉡ 개개인의 교육경험, 가변성, 생활 세계 속의 존재에 관심
③ 교육의 비인간화 현상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비판 : Pinar, Grumet
㉠ 정신분석학과 현상학적 사회학에 바탕
㉡ 학생 개개인의 자아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교육의 정신적 측면에 관심
④ 교육과정의 사회적 기능에 대하여 비판을 가하는 사회적, 정치적 접근 : Hrebner, Greene, MacDonald, Bateman, Mann, Pilder, Apple, Giroux, Popkewitz, Anyon, Wexler
㉠ 문화와 이데올로기에 관한 신마르크스주의 비판에 이론적 바탕
㉡ 교육과정 이론가들의 관점을 교육과정과 이데올로기의 관계라는 거시적 관점으로 돌려주었다.
→ 재개념주의자들은 각기 그들이 기초로 하고 있는 이론과 이에 따른 접근 방법을 달리하고 있으며, 탐구의 대상도 다소 차이가 있다.
7. 재개념주의자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공통적 요소
① 인간 자신과 그의 자연에 대한 관계가 총체적이고 유기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진다.
② 개별적인 인간들이 지식과 문화를 창출하는 가장 핵심적인 주체라고 보아 해석학적 접근을 한다.
③ 교육과정 이론가들은 방법론으로서 그 자신의 경험에 큰 비중을 둔다.
④ 교육과정이론화는 의식 이전의 경험 영역을 그 주요 출처로 삼는다.
⑤ 이론화의 기초로서 실존주의 철학, 현상학, 정신분석학 등을 들 수 있으며, 아울러 사회학, 인류학, 정치학과 같은 관련 영역에서의 인본주의적 재개념화도 그 의존도가 높다.
⑥ 교육과정은 개인의 자유와 높은 수준의 의식화에 가치를 둔다.
⑦ 다양성과 복수주의가 바람직하게 여겨진다.
⑧ 정치적, 사회적 재개념화가 근본적이다.
⑨ 새로운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새로운 용어와 개념이 생성된다.
⑩ 주요 특징은 이데올로기와 도덕적 주요 쟁점을 분석하여 교육활동에서의 삶의 해방을 추구하였다.
㉠ 학생들을 둘러싼 생활 세계를 존중하며 교과서의 지식은 특정 계층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 현재의 학교 교육은 학생들을 정신적으로 황폐화시키고 있다고 비판한다.
㉢ 사전에 설정된 교육목표에 따라 수업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한다.